세이브바이오텍

현재 위치
  1. 게시판
  2. 건강정보

건강정보

건강정보입니다.

게시판 상세
제목 피부 노화
작성자 장광호 (ip:)
  • 작성일 2019-09-26 13:17:16
  • 추천 1 추천하기
  • 조회수 4558
평점 0점



피부 노화


요약 나이가 들어가면서 피부에 나타나게 되는 유형과 무형상의 변화를 통틀어 피부노화라 합니다.

우리 사회는 지난 2000년 65세 이상의 인구가 7% 이상인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가 되었으며

2026년에는 65세 이상의 인구가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개요

나이가 들어가면서 피부에 나타나게 되는 유형과 무형상의 변화를 통틀어 피부노화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65세 이상의 인구가 7% 이상인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가 되었으며

2026년에는 65세 이상의 인구가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노령층뿐만 아니라 젊은층에서도 이전 세대보다 일광에 노출되는 시간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어서

피부노화에 대한 관심와 노화를 예방하기위한 대비책이 더욱 필요합니다.

피부는 여러 가지 생리기능을 가진 보호막이면서 동시에 타인으로부터 미용적 호감을 얻는데 중요한 기관이기도 합니다.

노화된 피부는 외견상 보이는 변화와 함께 여러 가지 피부의 기능적 장애를 동반하고 있습니다. 한편 나이보다


젊어 보이는 피부를 가지고 있는 노인은 삶에 더 만족감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것은 피부가 가진 생리적 기능에 버금가는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심한 노화의 흔적은 삶의 활력에 지대한 영향을 주어 심한 경우 우울증에 빠지기도 합니다.

따라서 피부노화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노화의 원인

1. 반응성 활성산소라디칼

피부 노화는 크게 두 가지 과정으로 일어납니다. 특별한 환경적 요인 없이 누구에게나 세월과 함께

일어나는 변화를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라 하며, 여기에 햇볕과 같은 환경요인에 장기간 노출되어

얼굴, 목, 손등에 나타나는 변화를 광노화(photoaging)라고 합니다.

내인성 노화의 주 원인은 우리 몸의 대사과정에서 만들어진 반응성 활성산소라디칼에 의하여

우리 몸의 구성 성분에 생기는 손상이 누적되기 때문입니다. 외인성 노화는 유해한 활성산소가 자외선에 의하여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일단 활성산소가 만들어진 후 몸속에 있는 여러 가지 보호 장치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게 되면 일련의 염증반응이 일어나 피부 손상이 초래됩니다.

2. 자외선

광노화는 피부노화의 주된 요인으로 피부에 생기는 대부분의 미용 및 의학적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광노화를 일으키는 햇빛의 파장대(action spectrum)는 자외선 영역입니다.

일광화상은 주로 자외선B(UVB, 290~320nm)에 의하여 발생되지만,

피부노화와 암을 유발하는 것은 자외선B 뿐만 아니라와 자외선A(UVA, 320~400nm)도 원인입니다.

따라서 광노화를 막기 위해서는 반드시 자외선A와 B를 모두 차단해야만 합니다.

3. 그 밖의 요인들

피부노화를 유발하는 가장 대표적인 외적 요인은 햇빛이지만 이 외에도

적외선, 흡연, 약물복용, 폐경 등 기타 많은 요인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특히 흡연은 피부에 악영향을 줍니다. 각질층의 수분 함량을 떨어뜨려 건조하게 만들고

에스트로겐을 감소시켜 피부를 위축시킵니다. 흡연은 특히 여성 피부의 노화를 촉진시킵니다.

여성 피부의 주름과 흰머리는 하루 한 갑 이상의 담배를 피운 횟수에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흡연자의 피부조직은 주로 상부진피층에 국한된 변성을 보이는 일광 손상과 달리

하부 진피층까지 광범위한 탄력섬유의 변성을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진피의 변화소견은 호중구 탄력섬유 분해효소 활성의 증가, 만성적인 진피의 허혈상태,

전구산화물질(prooxidnat)로서의 흡연물질의 작용 등에 기인합니다.

피부노화의 증상

1. 정상피부의 기능과 구조

피부는 몸의 가장 바깥에서 체내의 수분, 전해질, 단백질이 소실되는 것을 막아주면서,

체온 조절, 피부의 감각 기능, 면역 기능 등 여러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인체의 중요 기관입니다.

피부는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 지방(subcutis)의 3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속에 모발, 땀샘, 피지샘 등의 피부 부속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5. 노화 피부의 기능적 변화

핵심


피부노화를 유발하는 가장 대표적인 외적 요인은 햇빛이지만 이 외에도 적외선, 흡연, 약물복용,

폐경 등 기타 많은 요인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특히 흡연은 피부에 악영향을 줍니다.

각질층의 수분 함량을 떨어뜨려 건조하게 만들고 에스트로겐을 감소시켜 피부를 위축시킵니다.

흡연은 특히 여성 피부의 노화를 촉진시킵니다. 여성 피부의 주름과 흰머리

하루 한 갑 이상의 담배를 피운 횟수에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피부결이 거칠고 보다 더 건조하며 피부탄력은 현저하게 감소하여 처진 모습이나 깊은 피부주름,

자반과 피지선 과형성과 같은 병변도 흔히 관찰됩니다. 이러한 피부에서는 일광흑자(solar lentigo),

검버섯(seborrheic keratosis)과 같은 양성 종양 이외에 광선각화증 등과 같은

전암성 병변이나 편평세포암, 기저세포암과 같은 악성 변화소견이 나타납니다.
 

30대 후반에서 40대 사이로 노인성 흑점의 초기증상이 보이기 시작하며,
각화성 병변은 촉감으로 느껴지지만 보이지는 않습니다.

광노화 단계는 50대 이후에 나타나는데 피부 색조 이상이 뚜렷해지고 모세혈관이 확장되며,
이제 각화병변은 눈에도 보이게 됩니다. 피부주름은 가만히 있을 때도 눈에 띄게 됩니다. 광노화의 최종 단계는
60대 이후로서 피부에 온통 주름뿐인 시기로서 피부색은 회황색(yellow-gray)이 되고
암전구 단계의 피부병변이 나타나고 정상적인 피부는 거의 보이지 않는 수준이 됩니다. 
혈관이 감소하여 피부 혈류량이 최대 60%까지 감소하므로 피부색이 창백하게 보이고
피부의 표면온도도 떨어지게 됩니다. 피부 혈관벽이 얇아지고 혈관을 감싸고 있는 탄력섬유 성분이 변성되므로
 
모세혈관 손상에 의한 피부의 멍이 잘 듭니다. 또한 피부 부속기 주위의 혈관도 감소하여
피부 부속기관의 위축이 오고 그 기능도 떨어지게 됩니다. 피부 혈관의 기능변화는
 
혈액백혈구(T림프구)의 기능 저하와 함께 작용하여 외부 항원에 대한 지연형 면역반응을 저하시킵니다.
진피의 비만세포 수도 현저히 감소되어 외부자극을 받았을 때의 염증반응이 약해지게 됩니다.
피부 건조는 노인의 피부에 흔히 생기는 소견입니다. 노화에 의하여 각질층에 지질과
아미노산의 변화가 오게 되어 보습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피부 표면이 거칠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피부의 변화로 피부를 자극하는 물질의 흡수가 증가되고 피부의 감각 기능에도 변화가 일어나 가려움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소양증(가려움증)은 노인피부에 가장 흔히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피부의 건조를 막으면 치료됩니다. 그

러나 약 10~50%의 사례들은 단순한 피부건조 때문이라기보다

당뇨, 신장장애, 갑상선질환, 폐쇄성 간질환 등의 전신 질환과 관련되어 일어나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간혹 림프종과 같은 악성종양이나 진성 적혈구증다증과 같은 질환에 의하여

일반적인 소양증의 치료에 호전을 보이지 않는 증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농가진, 모낭염, 봉소염 등의 세균성 질환이 잘 생기는 데 이 경우 원인 균종이 항생제 내성을 보이거나,

유발 균종이 젊은 세대와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균[곰팡이]감염은 이 보다 더 흔히 발생하여 60세 이상에서 염증이 증가합니다.

대상포진(Herpes zoster)은 특별히 노인층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바이러스성 피부질환입니다.

이 경우 60세 이상은 피부손상 뿐만 아니라 장기간 지속되는 심한 신경통

후유증으로 앓게 되는 경우가 40% 이상이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심한 경우 통증 뿐만 아니라 배뇨 및 배변 장애, 안면근육 마비증상, 이명,

각막손상 등의 합병증이 올 수 있으므로 질환은 눈과 앞면을 나뿌게 변형시킵니다.

 
 노화된 피부는 감각기능, 장벽기능, 면역기능의 장애에 더하여 순환장애,
상처회복지연 등이 있어 피부에 상처가 생기는 경우 쉽게 아물지 않고
만성 피부궤양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젊은 날에 비하여 몸의 대사과정 및 면역체계에도 변화가 생겨 약물에 의한 이상 반응의 빈도가 높아집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소양증, 발진, 두드러기 등이 피부에 계속 남아 있는 경우 복용하고 있는 약물과의 관련성을 고려해 봐야 합니다.

 

위의 글 자세히 보셨나요, 해결 방법을 찾아 볼까요​, 아래 더보기 확인 하십시요,

피부는 물론이고, 기억력도, 뼈도 젊으지면 아마도 놀라실 것입니다.

해 보시면 알수 있지요,


오리알 노란자를 잘 가공하여 세포만드는 특이하게 생긴 물질을 축출합니다.

이 물질은 뇌세포와 골수세포, 장기세로, 피부세포를 만듭니다.

때문에 오리는 노란자 분열로 인해 생명이 태어난 것입니다.


세이브 바이오텍

팔면 끝이 아닙니다. 시작입니다. 호전반응이 나타나면 언제든지 전화주세요

전화 상담소=010-7256-1112, 052-254-5200 메일= sanchna@naver.com


해결 방법을 알아볼까요?

더보기=뇌하수체에서 생산되는 포스파티딜콜린

더보기=암을 이겨내는 사람들의 특징 , 

더보기=협심증, 더보기=당뇨가 오는길 ,더보기="치매" 조금씩 흩어지는 정신

더보기= 동맥혈전, 뇌색전증 더보기=고지혈증 , 더보기=인체 디자이너

더보기=지방세포,더보기=지방 분해, 가수분해 효소

더보기=성장 장애,더보기=외상성 뇌 손상, 강타당한 뇌

더보기=만성 피로 , 더보기=갱년기 장애와 성호르몬



첨부파일 뇌하수체 호르몬의 역할.jpg , 200605291202.jpg , Chrysanthemum.jpg
비밀번호 수정 및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관리자게시 게시안함 스팸신고 스팸해제
목록 삭제 수정 답변
댓글 수정

비밀번호 :

수정 취소

/ byte

비밀번호 : 확인 취소

댓글 입력

댓글달기이름 :비밀번호 : 관리자답변보기

확인

/ byte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

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

댓글 입력

댓글달기이름 :비밀번호 :

확인

/ byte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

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