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러 원인으로 경동맥이 좁아진 증세.
목동맥협착증이라고도 한다. 경동맥은 목을 지나서 안면과 두개골 안으로 들어가는 동맥이다.
이 혈관이 동맥염, 죽상동맥경화증 등의 원인으로 좁아진 경우를 말한다. 경
동맥은 뇌와 관련된 혈관이므로 이 혈관이 좁아지면 뇌졸중의 위험도가 증가하고,
뇌기능 장애로 이어진다. 가장 많은 원인은 동맥 내벽에 지방과 염증세포, 섬유소가 쌓여서 혈관이 좁아지는 죽상동맥경화증이다.
죽상동맥경화증은 어느 동맥에나 생길 수 있다. 관상동맥에 생기면 협심증·심근경색증이 되고,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생기면
뇌허혈·뇌경색이 되며, 신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생기면 신동맥 협착증, 2차성 고혈압이 된다.
다리로 가는 혈관에 생기면 하지허혈과 괴사가 일어난다. 죽상동맥경화가 진행될수록 협착은 더욱 심해지고 예후도 나쁘다.
의식·생각을 담당하는 대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 좁아지면 치매나 혼수를 일으키고,
감각·동작을 맡은 대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 좁아지면 반신마비·감각이 소실되며,
동작·조절을 담당하는 소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 좁아지면 똑바로 걸을 수 없게 된다. 경동맥은 외경동맥과 내경동맥으로 나뉘는데,
내경동맥은 안구에 혈액을 공급하므로 내경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면 시력이 나빠진다.
치료는 갑작스러운 악화와 진행을 방지할 수 있는 약물을 투여하고,
혈관 내벽의 지저분한 부분을 제거하거나 혈관을 우회하는 혈관수술을 시행한다.
경동맥협착증 (두산백과)
뇌혈관협착증[cerebrovascular stenosis, 腦血管狹窄症 ]

- 뇌 속에 퍼져 있는 모세혈관이 좁아져 뇌신경에 공급되는 혈류량이 줄어들어 나타나는 증세.
뇌 속에 퍼져 있는 혈관이 좁아져서 혈관을 통과하는 혈류량이 줄어들어 나타나는 증상을 뇌혈관협착증이라고 한다.
동맥경화와 뇌혈관 박리 같은 질환이 원인이다.
중년층 이상의 나이에 잘 발생하며 또 겨울철에 잘 생긴다.
아무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두통이 생길 수도 있다.
안면신경마비나 3차신경마비가 나타날 수도 있는데, 이때는 얼굴이 뻣뻣해지면서 입이 돌아가게 된다.
또 눈꺼풀이 감기지 않아 세수할 때 비눗물이 눈으로 들어가거나 물을 마실 때 입을 오므리지 못해
물을 입 밖으로 흘리기도 하는 등의 불편을 겪게 된다.
뇌혈관협착은 뇌혈관에 혈액순환장애를 일으켜 중풍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협착이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다.
혈액 내 콜레스테롤을 낮추기 위해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금연을 하며 항혈소판제제를 복용해 치료할 수 있다.
풍선을 이용해 협착 부위를 확장하거나 스텐트로 좁아진 혈관을 넓히는 등의 수술도 있다.
뇌혈관협착증(두산백과)
대동맥협착증[coarctation of aorta, 大動脈狹窄症 ]

- 대동맥의 일부가 협착하는 병.
대동맥협착증은 대동맥축착증(大動脈縮窄症)이라고도 한다.
협착 장소는 협부(狹部:좌쇄골하동맥 분기부위와 동맥관이 부착되어 있는 부분과의 사이에 있는 대동맥)를
중심으로 한 것이 대부분으로, 협착부가 협부보다 말초에 있는 것을 관후형(管後型) 또는 성인형(成人型),
그것보다 중추에 있는 것을 관전형(管前型) 또는 유아형(幼兒型)이라고 한다.
그 밖에 하행대동맥이라든가 복부대동맥에서 발견되는 것도 있지만,
이것은 주로 염증성 병변에 의한 것이 많아서 선천성의 협부 협착과는 원인이 전혀 다르다.
다른 기형을 합병하는 경우도 많은데, 동맥관개존증(動脈管開存症) ·심실중격결손증(心室中隔缺損症)이 합병하기도 하고,
대동맥 반월판(半月瓣)이 2판(정상은 3판)이거나 심내막(心內膜)의 이상이 겹치는 경우도 있다.
성인형과 유아형은 그 증세도 다르다. ① 성인형:상반신의 혈압이 높고,
대동맥궁과 하행 대동맥 사이에 측부혈행(側副血行)이 현저하게 발달한다.
동맥관이 열려 있으면 동맥관개존증의 증세를 수반한다. ② 유아형:동맥관이 열려 있으면 상반신에는
동맥혈이 흐르지만 하반신에는 폐동맥혈이 흘러 하반신에만 청색증(靑色症:cyanosis)이 나타나는 수가 있다.
또한 측부혈행의 발달이 나빠 폐고혈압을 수반한다.
병의 경과는 합병기형과 관계가 있지만 좌심부전(左心不全) ·심내막염 ·대동맥염 ·동맥류(動脈瘤)의
형성이나 파열 등이 나타나 일반적으로 좋지 않다. 치료는 협착부를 절제하여
인공대용혈관으로 대동맥을 바로 잡거나 합병기형의 수술치료를 한다.
대동맥협착증 (두산백과)
아래 더보기 자세히 보시고, 관들의 독소들을 해독하여 좋은 변화 뿐만 아니라,
동맥협착, 뇌혈관협착증, 대동맥협착증을 해소하는 방법을 배워고 실행하면,
뇌를 강화하고 뇌 크기의 변화, 심장에 파워가 생깁니다.
세이브 바이오텍은 http://5232.co.kr
팔면 끝이 아닙니다. 시작입니다. 호전반응이 나타나면 언제던지 전화주세요
전화 상담소=010-7256-1112, 052-254-5200, 메일= sanchna@naver.com
방법을 더 알아볼까요?
더보기=뇌하수체에서 생산되는 포스파티딜콜린
더보기=피부노화,더보기=암을 이겨내는 사람들의 특징 ,
더보기=협심증, 더보기=당뇨가 오는길 ,더보기="치매" 조금씩 흩어지는 정신
더보기= 동맥혈전, 뇌색전증 더보기=고지혈증 , 더보기=인체 디자이너
더보기=지방세포,더보기=지방 분해, 가수분해 효소
더보기=성장 장애,더보기=외상성 뇌 손상, 강타당한 뇌
더보기=만성 피로 , 더보기=갱년기 장애와 성호르몬